애드몹에서 정상적으로 광고 단위를 등록하고 설정을 완료했고 다른 경고 사항이 없는데 요청이 노출로 안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애드몹(AdMob)에서 “게재된 요청 수”는 앱이 광고 서버에게 광고를 달라고 요청한 횟수를 의미하고, “노출 수”는 실제로 사용자 화면에 광고가 렌더링(표시)된 횟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모든 요청이 곧바로 노출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일부 요청은 노출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1. 광고 인벤토리(Inventory) 부족 혹은 낮은 채우기율(Fill Rate)
특정 국가나 특정 사용자 그룹에서 광고주가 많지 않거나, 광고 수요가 일시적으로 낮을 경우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적합한 광고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앱이 광고를 요청해도 광고가 확보되지 못하여 노출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2. 네트워크 지연, 타임아웃(Timeout) 및 로딩 실패
네트워크 환경이 좋지 않거나 광고 로딩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광고 요청은 이루어지더라도 로드가 완료되지 않아 노출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사용자가 광고가 로드되기 전에 화면을 닫아버리는 경우(예: Activity 전환, 앱 종료 등) 역시 광고 요청만 발생하고 노출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영상 형태의 광고들은 이런 경우가 많을 듯 싶다.
3. 광고 정책 또는 필터링으로 인해 광고가 제한되는 경우
구글은 부정 클릭(Invalid Traffic) 방지나 광고 품질 정책을 위해 일부 요청을 필터링하거나 광고 게재를 제한할 수 있다.
앱의 콘텐츠가 광고 정책에 위배되어 있거나, 부정 트래픽이 감지되는 환경에서는 광고가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고 해당 요청이 거절될 수 있다. 부정 트래픽이 생각보다 많은 개발자들이 시달리는 문제인데 한 명이 광고를 너무 많이 클릭하거나 특정 루트로 광고 시청량이 과하게 증가하는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애드몹 설정에서 분당 게재수 제한을 반드시 설정하자.
4. 광고 형식 및 구현상의 문제
Interstitial(전면) 광고나 Rewarded(보상형) 광고처럼 사용자의 액션(예: 버튼 클릭, 게임 종료 시점)으로 띄워야 하는 광고의 경우, 코드 구현이나 사용자 동선에 따라 실제 노출까지 연결이 잘 안 될 수 있다.
광고 요청 시점과 사용자가 광고를 볼 수 있는 타이밍이 맞지 않아, 요청은 기록되지만 노출이 발생하지 않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5. 중복 요청 또는 미처 표시되지 않은 요청
일부 앱에서 광고를 빠르게 반복 요청하거나 여러 위치에서 동시에 요청할 경우, 가장 먼저 응답받은 광고만 실제로 노출되고 나머지 요청은 무효화될 수 있다.
광고 서버 쪽에서도 최신 요청이나 우선순위가 높은 요청만 채우고 이전 요청은 취소 혹은 유효 시간이 지나 광고가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6. 사용자 단에서 광고가 차단되는 경우
기기 설정, VPN,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웹뷰 앱의 경우) 또는 기타 차단 소프트웨어 때문에 광고가 로드되지 않을 수 있다. 해당 문제에 대응하는게 광고로 벌어 먹고 사는 개발자들의 가장 큰 골칫거리 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간단하게는 광고가 로드가 안되면 UI가 제대로 안 뜨게 만들면 되는데 사용자의 환경, 네트워크 에러 등 여러가지를 고려해야해서 실제로 개발할 때는 생각보다 상당히 귀찮은 문제다.
어찌됐든 요약하자면, 애드몹에서 보고되는 “게재된 요청 수”와 “노출 수”가 항상 동일하지 않은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광고가 요청되었어도 다양한 이유(인벤토리, 정책 제한, 네트워크 문제, 화면 전환 등)로 인해 실제 노출이 취소되거나 실패하기 때문에, 일부 요청은 노출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게재 빈도를 늘리는 방안을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 광고 로드와 노출 시점을 최적화하여 사용자에게 실제로 광고가 보일 가능성을 높임
- 가능한 네트워크 에러 처리와 재시도 로직 고려
- 부정 트래픽 방지, 정책 준수, 적절한 광고 위치 배치 등을 통해 Google의 광고 필터링을 최소화
정도가 있겠다.
그리고 여기서 언급하기 좀 애매한 EU의 개인정보보호 정책 문제 때문에 광고 게재수가 급감하는 문제도 있는데 이건 좀 더 알아보고 작성해보겠다.
'어플리케이션, 앱 (Application) > 안드로이드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XML - 버튼 background drawable 적용이 안되는 이유 (0) | 2025.03.09 |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프로젝트 api 키 기본 관리법 (0) | 2025.03.09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SHA1(SHA-1)키,SHA-256키 확인법 초간단 정리 (0) | 2025.03.05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단축키 정리 (0) | 2025.03.05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하이라이트 색상(EditText, CheckBox) 수정 방법 (0)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