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플리케이션, 앱 (Application)/잡담 5

단일 모델 기준 코드 작성 성능에 대한 비교

대학교에서 사용자 맞춤형 동화 생성 및 낭독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여러 생성형 모델을 써본 경험을 간단히 써보고자 한다.생성형 모델의 원조격이라 할 수 있는 gpt, 그중에서도 o4-mini-high와 o3를 많이 쓰고 프로젝트 형식으로도 많이 써봤는데 일단 프로젝트 지식에 넣을 수 있는 파일이 20개 밖에 안 되는 것도 아쉽고 코드 작성도 매번 같은 기능을 다르게 작성하는 탓에 프로젝트에 제대로 써먹기 어려웠다. 작정하고 프롬프팅 하면 뭐 달라질 것 같긴 한데 기본적으로 코드를 정확하게 작성을 안 해줘서 계속해서 쓰기에는 영 부족한 점이 많다.그리고 무슨 명령을 내려도 UI/UX는 진짜 멍멍이 판이다 그냥 사람이 하는 게 더 빠르고 더 낫다. 그래도 성능 자체는 부족한 게 아니라 UI/UX를 신경 쓰지 ..

언리얼 엔진에 밀릴 줄 알았던 유니티

한 1,2 년 전 쯤 언리얼 엔진이 엄청 뜨면서 유니티 주가도 내려가고 소식도 부정적인 소식 위주로 들렸던 걸로 기억한다게임 엔진의 기술력 자체가 언리얼 엔진이 훨씬 높다고 했던 것 같다. 근데 뉴스와 커뮤니티에서 유니티 관련 여러 소식이 들리길래 가볍게 찾아봤다. AW 2025 -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유나이트 서울 2025의 키노트 및 세션 라인업을 공개유니티 벡터, AI로 광고 성능 최적화 시도2024년 4분기 매출액은 4.42억 달러로 전년 대비 4.2% 증가하며 가이던스 상단을 약 4% 웃돎.조정EBITDA는 1.06억 달러로 가이던스 상단을 약 26% 상회 뭔가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 같긴한데 음 좀 애매한 느낌이다... ai 관련해서 찾아보니 5일 전에 아래의 사이트를 업데..

개발 방식 전면 개편…

각종 AI 툴들과 내 앱의 기능, UI를 보면 확실히 앱 개발 방식에 있어서 변화가 필요할 것 같다. 특히 학기 중에는 짬짬이 개발을 해야하는데 요즘 들어 힘이 딸리는 것 같다.기존에는 기획 > gpt 로 틀 만들기 > AI 친구들과 activity나 fragment 하나씩 채워나가기 정도였는데 다른 사람들의 개발 속도와 퀄리티를 보니 좀 더 변화가 필요할 것 같다. cursor 이 녀석이 제일 고민이다. 전체 파일을 인식하고 그 기반으로 코드를 짜주기에 개발 속도가 매우 빨라지는데 뭔가 android studio 버리고 가기가 영 거부감이 든다. 차라리 android studio에서 빨리 비슷한 기능을 추가했으면 좋겠다 부모격인 intellij도 커서랑 비슷한 길을 가는 것 같으니 말이다…일단 지금은 ..

애드몹을 이용한 수익화 방향

현재 애드몹에서 앱 오프닝 광고, 보상형 광고, 배너 광고를 통해 수익을 보고 있다.각 광고의 특징을 정리해보자면앱 오프닝 광고- 앱이 켜질 때마다 뜨는 전면 광고, 내가 다른 앱을 통해서 느낄 때는 큰 불편함을 안 느꼈는데 다른 사용자들은 거부감이 좀 있는 것 같다. 수익성이 점차 떨어지는 것으로 추정보상형 광고- 광고 버튼을 눌러서 보는 광고. 일반적으로 광고 보는 대가로 보상을 준다. 단가가 제일 높다. 1회 노출당 2~30원, 클릭시 10배 정도 수익을 버는 것 같다. 능동적으로 보는 거라 거부감이 생각보다 적은편. 다만 계속 광고 시청을 유도하도록 로직을 짜는 게 매우 중요하다. 이번에 광고 수익 흐름을 보면서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배너 광고- 가장 운영하기 단순하고 흔한 광고. 단가가 매우 낮..

로또 공 추천 앱 개선 방안

일단 UI 개선은 시급해보인다. 근데 참 근본부터가 공돌이라 참 쉽지가 않다...그리고 현재 애드몹 수익을 보면 seekbar 접근을 위한 보상형 광고가 80프로 정도 차지한다. 노출 수 자체는 배너보다 훨씬 적은데 말이다.그래서 보상형 광고의 보상을 개선하고 다른 activity의 접근성과 유도성?을 늘려야할 필요를 느끼고 있다. 특히 이름과 단어를 이용한 하루 한 개의 번호 추천에 대한 안내가 미흡하고 버튼 자체도 별로 들어가고 싶은 마음이 안 생기는 것 같다. 그리고 번호 추첨 시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추가하고 보상형 광고를 이용해 원하는 횟수만큼 추가로 이름과 단어를 이용해 번호를 추첨하는 방안도 고려해야할 것 같다.